2023. 4. 15. 00:00ㆍSE 에세이
스탠포트 2023 HAI 레포트에 따르면, 산업계가 학계보다 앞서가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2014년까지만 해도 대부분의 중요한 머신러닝 모델은 학계에서 발표되었습니다. 그 이후로 산업계가 그 자리를 이어받았습니다. 2022년에는 산업계에서 생산한 중요한 머신 러닝 모델이 32개에 달한 반면, 학계에서 생산한 모델은 3개에 불과했습니다. 최첨단 AI 시스템을 구축하려면 점점 더 많은 양의 데이터, 컴퓨팅, 자금이 필요하지만, 비영리 단체나 학계에 비해 산업계는 본질적으로 더 많은 자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AI 연구를 위해서는 알고리즘도 중요하지만, 데이터와 컴퓨팅자원이 있어야 합니다.
학계는 알고리즘을 개발할 수는 있지만, 정작 필요한 데이터를 확보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리고 초거대 모델 경쟁이 시작되면서, 슈퍼컴퓨터 자원을 활용할 수 없다는 것도 그 이유입니다.
AI 연구는 양보다 질입니다. 사실, 연구 자체가 양보다 질입니다. 지식의 가치는 사용될 때 나옵니다. 연구 결과가 실제 현장에 적용되어 혁신을 만들어 내야만 가치가 창출되고 질 높은 연구가 되는것입니다.
금메달 1개가 은메달 100개, 동메달 1000개 합친 것보다 가치있습니다. 물론, 은메달 동메달도 가치가 있습니다. 요즘 같이 빠르게 변하는 시대에, 그리고 자원이 부족한 한국에서 은메달, 동메달 따는 것만해도 대단한 것입니다. 그리고 은메달, 동메달 계속 따다보면 언젠가는 금메달 따지 않겠습니까? 리딩은 못하더라도, 따라 가기만 해도 잘하고 있는 것이라고...
https://aiindex.stanford.edu/report/
AI Index Report 2023 – Artificial Intelligence Index
The AI Index is an independent initiative at the Stanford Institute for Human-Centered Artificial Intelligence (HAI), led by the AI Index Steering Committee, an interdisciplinary group of experts from across academia and industry. The annual report tracks,
aiindex.stanford.edu
'SE 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양자 순간이동(텔레포트) 2:웜홀 순간이동 (1) | 2023.04.19 |
---|---|
AI Transformation, AI 혁식, AI전환 (0) | 2023.04.14 |
AI의 발전 방향: 특화지능, 일반지능, 초지능 (0) | 2023.04.13 |
보물섬 소행성 프시케 (0) | 2023.04.11 |
세계 공기 오염 지도 (0) | 2023.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