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소프트 포크(Soft Fork)의 역사
2023. 2. 27. 00:00ㆍBitcoin & Altcoins
비트코인의 소프트포크(Soft Fork)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대한 변경 사항을 적용하는 업그레이드 방법 중 하나입니다. 소프트포크는 이전 블록체인 규칙을 따르면서 새로운 규칙을 추가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하드포크(Hard Fork)와 같은 큰 변화를 줄 수 없는 대신, 블록체인 프로토콜의 성능을 개선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비트코인의 주요 소프트포크 이벤트의 연대기입니다.
- BIP 16 (2012년) - P2SH (Pay to Script Hash) 소프트포크. 이전에는 비트코인 주소가 공개키(33바이트) 또는 해시(20바이트)로만 구성되었지만, P2SH는 더 복잡한 스크립트로 구성된 주소를 생성할 수 있게 해줍니다.
- BIP 34 (2015년) - 블록 버전 2까지의 블록체인에 Coinbase 출력 스크립트에 블록 높이 정보를 추가하는 소프트포크. 이를 통해 블록체인에 더 많은 정보를 추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BIP 66 (2015년) - 스크립트 서명(Signature) 검증 방식 변경 소프트포크. 이전에는 스크립트 서명 검증 방식으로 DER(Distinguished Encoding Rules)을 사용했지만, BIP 66은 스크립트 서명 검증 방식을 엄격하게 하도록 변경했습니다.
- Segregated Witness(SegWit) (2017년) - 트랜잭션 서명 데이터를 분리하는 소프트포크. 이를 통해 블록체인의 용량 한계를 늘리고 트랜잭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습니다.
- BIP 141 (2017년) - SegWit을 활성화하는 소프트포크. SegWit이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 BIP 148 (2017년) - SegWit을 활성화하도록 마이닝 업계에 압력을 가하는 소프트포크. 이를 통해 더 많은 마이너들이 SegWit을 사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었습니다.
- BIP 173 (2018년) - Bech32 주소 형식을 도입하는 소프트포크. Bech32는 SegWit 주소를 표현하기 위한 새로운 주소 형식으로, 이전 주소 형식보다 오류 검출 및 수정이 더 쉬워졌습니다.
- Taproot (2021년) - 더 나은 스크립트 기능을 지원하는 소프트포크. Taproot은 더욱 복잡한 스크립트를 간단하게 작성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을 추가하고, 프라이버시를 더욱 강화하며, 다양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비트코인의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이 향상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보안성과 개인 정보 보호 기능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소프트포크 이벤트들은 비트코인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기능을 개선하고, 더욱 안전하고 확장 가능한 블록체인을 만들기 위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이러한 업그레이드는 블록체인 생태계의 발전과 안정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Bitcoin & Altcoi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USD 스테이블 코인을 라이트닝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방법 (0) | 2023.03.07 |
---|---|
[USDC] 디지털 화폐와 화폐의 진화 (1/5) (0) | 2023.03.03 |
[비트코인] 소스코드 주도권 경쟁 (0) | 2023.02.21 |
[컨풀룩스, 콘풀룩스, CFX] 초간략 조사 (0) | 2023.02.20 |
[파일코인, FIL] 파일코인 기초 지식 (0) | 2023.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