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D 스테이블 코인을 라이트닝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방법

2023. 3. 7. 00:00Bitcoin & Altcoins

USD 스테이블 코인을 라이트닝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방법: USDT, USDC 등의 미국 달러 스테이블 코인을 비트코인 라이트닝 네트워크 처럼 빠르고 낮은 수수료로 전송하는 방법은 있을까?

 

검색 결과 요약

  • 스테이블샛 서비스가 있다. 이론적으로는 가능한 모델이라고 생각됩니다. 문제는 특정 거래소에 종속된 서비스라는 것입니다. 본 문서의 아래에 스테이블샛 내용에 대한 요약해 놓았습니다. 생각보다 어렵지 않은 개념입니다. 한번 읽어보세요.
  • 비트코인 타로 프로토콜이 있습니다. 타로를 이용해서 스테이블 코인을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인지 아직 이해를 못했습니다. 더 조사해보겠습니다.

 

 

검색 결과 목록

 

스테이블샛: 라이트닝 네트워크에 안정적인 결제 제공

 

라이트닝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거래되는 USDT

  • 2022.3.25
  • USDT is Transacted Using the Lightning Network - The BTC Times
  • 비트코인 기반 서비스 제공업체인 Synonym이 라이트닝 네트워크 역사상 최초로 라이트닝 채널에서 최초의 테더(USDT) 거래를 시연했습니다. 메인넷 스테이블코인이 라이트닝에 연결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이 거래는 비트코인 블록체인에서 맞춤형 디지털 자산을 생성하는 플랫폼인 옴니를 사용하여 수행되었습니다.

 

라이트닝 랩스, 비트코인 개발자가 블록체인에서 자산을 발행하고 전송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출시: 타로의 알파 버전은 P2P 비트코인과 라이트닝 네이티브 스테이블코인을 생성할 수 있게 해줍니다.

  • 2022.9.28
  • Lightning Labs Releases Software to Allow Bitcoin Developers to Mint and Transfer Assets on the Blockchain
  • 라이트닝 네트워크 인프라 회사인 라이트닝 랩스는 비트코인 개발자가 비트코인 블록체인에서 자산을 생성하고, 보내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소프트웨어인 타로 데몬의 테스트 버전을 출시했습니다. 타로는 4월에 소개된 탭루트 기반 프로토콜로, 비트코인 블록체인에서 스테이블코인과 같은 자산을 발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 그런 다음 해당 자산을 라이트닝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여 즉시 대량으로 낮은 수수료로 거래할 수 있습니다.

타로 데몬의 테스트넷 알파 릴리스를 통해 개발자는 비트코인에서 미국 달러 스테이블코인 같은 자산의 발행, 송금, 수취를 테스트해볼 수 있습니다.

라이트닝 랩스, 비트코인 네트워크를 통한 스테이블코인 전송을 위해 펀딩 유치

  • 2022.4.5
  • https://techcrunch.com/2022/04/05/lightning-labs-raises-funding-to-enable-stablecoin-transfers-through-bitcoin-network/
  • 라이트닝 랩스는 사용자가 비트코인 네트워크를 통해 거의 즉각적이고 저렴한 비용으로 전 세계로 송금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 이 회사는 비트코인 라이트닝 네트워크에서 스테이블코인을 전송할 수 있는 타로라는 프로토콜을 지원하기 위해 자금을 모금했다고 디크립트가 처음 보도했습니다.
  • 타로는 라이트닝 랩스가 비트코인 블록체인을 보다 효율적으로 만드는 레이어 2 솔루션인 라이트닝 네트워크를 위해 특별히 개발한 여러 제품 중 가장 최신 제품입니다. 비트코인의 라이트닝 네트워크는 현재 암호화폐를 법정화폐로 인정하는 엘살바도르와 크라켄과 같은 주요 기업 및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스테이블샛츠: 라이트닝 네트워크에 안정적인 결제 제공

미국 달러 결제 네트워크와 라이트닝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스타트업인 갈로이는 비트코인으로 뒷받침되는 합성 달러 상품인 스테이블샛을 출시했다고 발표했습니다.

 

<해피해커의 정리>

스테이블 샛츠란, 거래소에서 비트코인을 담보로 달러 가치를 유지해 주겠다는 아이디어를 구현한 서비스입니다.

 

예) 스테이블 샛츠의 동작 방식

  • 앨리스가 1BTC를 달러 스테이블 코인으로 환전하고자 합니다.
  • 현재 비트코인 가격이 30K USD 라고 가정하면, 스태이블샛 서비스는 1BTC에 대한 Short 헷지 계약을 맺습니다. 그리고, 앨리스의 계좌에 30K USD를 표시해 줍니다.
  • 비트코인 가격이 50% 하락해서 15K USD가 되더라도, 헷지 계약으로 15K USD를 벌었기 때문에, 앨리스에게 30K(15K + 15K) USD를 지급할 수 있습니다.
  • 비트코인 가격이 100% 상승해서 60K USD가 되더라도, 헷지 계약으로 인해 30K USD를 잃었기 때문에, 앨리스에게 30K USD만 지급할 수 있습니다.

이론적으로는 가능한 얘기입니다. 문제는 거래소를 믿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거래소가 파산하거나, 계약을 이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위의 시나리오가 동작하지 않습니다.

 

이미지 출처: https://stablesats.com

 

스테이블샛츠

  • 비트코인의 환율 변동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
  • 합성 미국 달러 상품을 제공 (synthetic USD)
  • 기존 USDT, USDC 등의 스테이블코인과는 달리 비트코인을 통해 달러 잔액을 표시
  • 추가로 만드는 토큰이 없으므로, 상호 운용성이 향상되고 수수료가 낮아지며 유동성 문제가 발생하지 않음.

 

어떻게 동작하는가?

  • 갈로이는 역 영구 스왑(inverse perpetual swaps)을 사용하여 이 상품을 개발
  • 예) 사용자가 라이트닝 네트워크 지갑에서 1 BTC를 USD 잔액으로 전환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1 BTC는 해당 금액만큼의 역 무기한 스왑 계약을 구매하기 위해 약정됩니다. 1 BTC가 20,000달러에 해당한다면, 1달러씩 20,000개의 계약을 의미하게 됩니다. 비트코인 가격이 두 배 또는 절반으로 떨어지면 손익은 실현되지 않고 기본 역 무기한 스왑 계약에 따라 20,000달러의 금액이 여전히 표시됩니다.

 

합성 달러 상품(synthetic usd)이란 무엇인가?

역 영구 스왑(inverse perpetual swaps)이란 무엇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