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2. 18. 00:00ㆍSE 에세이
Web3 is a movement for decentralizing the WWW(World Wid Web) again.
최초 WWW(World Wide Web)은 우리의 웹이었다. 수많은 사람들이 웹서버를 돌렸고, HTML로 문서를 만들어 공유했다. 누구나 콘텐츠를 자유롭게 만들고 볼 수 있었다. 세상 만 큰 넓은 거미줄, 정보 공유의 바다 그 자체였다.
이후, 기업들이 주도하는 폐쇄되고 상업적인 웹 서비스들이 출현했다. 웹2.0이라고 불렀다.
이전에는 각자가 웹서버를 돌리고, HTML 문법을 배워서 홈페이지를 만들고 운영해야 했다. 돈도 들고 힘든 일이었다. 웹 2.0에서는 누구라도 쉽고 빠르게 블로그도 만들고, 이메일도 보내고, 온라인 커뮤니티도 운영할 수 있는 무료 서비스를 제공했다. 단, 조건이 있었다. <ID, Password>로 서비스에 가입하고 개인정보를 제공해야 했다. 그리고, 무료인 대신 광고를 봐야 했다. 그리고, 이전에는 데이터를 누구나 볼 수 있었지만, 로그인을 해야만 데이터를 볼 수 있게 되었다. 웹이 폐쇄된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이를 당연하게 생각했다. 무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업자들의 비즈니스 모델을 존중해야 했다.
2009년, 비트코인 등장이후 14년이 되었다. 비트코인은 웹 해방의 씨앗이었다. 그동안 중앙화되고 파티셔닝 된 웹을 최초 웹의 모습으로 재건할 수 있겠다는 희망의 씨앗이었다.
2023년, nostr 프로토콜은 웹 서비스 개발의 패러다임을 진화시키고 있다. 트위터의 탈중앙화 버전으로 불린다. 정확하게는 탈중앙화 웹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기술 레벨로 보면 HTTP급이다. 또한, HTTP 만큼 단순하기도 하다. nostr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서비스를 만들면 <ID, Password> 대신, 각자가 <공개키, 개인키>를 만들어 사용한다.??. 맞다. 생소할 것이다. 아직은 그렇다. 웹의 해방에는 더 긴 시간이 더 필요할 것이다. 하지만, 이미 많은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다. "미래는 이미 와 있지만, 아직 보이지 않을 뿐이다."라는 말처럼 말이다.
2023년, 오디널스는 비트코인에 NFT 이미지들을 담고 있다. 비트코인을 데이터 저장소로 사용하는 것이다. 물론 바람직한 모습은 아니다. 비트코인 블록은 매우 비싼 저장소다. 반영구적인 저장소이기 때문이다. 한번 저장되면 완전 콩크리트 치듯이 박제가 된다. 전 세계가 합심해야만 변경, 삭제가 가능하다. 인류가 만들어낸 가장 안전한 자료 저장소다. 비트코인은 어느 누구의 것도 아니다. 비트코인 커뮤니티, 생태계가 만들어낸 것이다. 어느 국가의 것도 아니다. 전 세계 많은 국가들이 비트코인 인프라를 제공한다. 채굴장 말이다.
IPFS, 파일코인은 데이터 저장소를 탈중앙화 한다.
WASM, 웹 어셈블리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해방시키고, 컴퓨팅을 탈중앙화 한다.
등등...
탈중앙화 재건운동? 됐고~ 뭐가 좋은데?
웹3.0의 진화는 우리 눈에 잘 안 보일 것이다. 웹의 뒷단에서 벌어지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웹 소유의 종말을 가져올 것이다. 소유의 종말이라는 것은 어느 특정 기업의 소유에서, 우리의 것이 되는 것이다. 우리의 것이란, 말 그대로 우리의 것이다. 누구의 것도 아닌, 어느 누구의 것이 아닌 우리의 것. 지구인 것. 인류의 문화유산이 된다는 말이다.
됐고~ 뭐가 좋냐구!
웹은 우리 삶의 공간이다. 웹으로 출근하고, 웹에서 일하고, 웹에서 쇼핑하고, 웹에서 금융하고, 웹에서 놀고, 웹에서 쉬는 세상이다. 이미 메타버스다. 메타버스에서 창출되는 부는 엄청나다. 그리고, 앞으로 점점 더 엄청나질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공간에서 생성되는 부가가치의 대부분은 기업들이 가져간다. 왜냐? 우리가 그렇게 하라고 허락했기 때문이다. 허락한 적 없다고? 됐고~ 좋은 점은 다음과 같다.
다음에 이어서...
'SE 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객중심, 고객만족] 소프트웨어 개발 서비스에서 탁월해지는 방법 (0) | 2023.02.23 |
---|---|
그릿(Grit): 탁월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의 조건 (0) | 2023.02.22 |
생성형 AI (Generative AI)와 소프트웨어 개발자 (0) | 2023.02.17 |
글발 보다 말발 (1) | 2023.02.16 |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또는 개발자는 수학을 얼마나 잘해야 해? (0) | 2023.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