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모델(2)
-
[앨런 튜링] 생각하는 기계를 만드는 방법
생각하는 기계를 만드는 방법 앨런 튜링의 보고서 요약 그리고 상상 방법 1: 진짜 사람 같은 기계를 만든다. 진짜 사람처럼 생각하는 기계를 만드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하지만, 그 당시 기술로는 비현실적이었다. 지금도 인간을 닮은 사이보그를 만드는 것은 비현실적이다. 설령 만든다고 해도 식사, 섹스, 스포츠 등의 인간적 경험을 할 수 없다. 방법 2: 뇌를 모방한다. 뇌만 모방해서 생각하는 기계를 만드는 것이다. 앞의 방법보다는 현실적이다. 뇌를 모방해서 만든다면 뇌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다시 말해, 뇌를 모방한 기계는 무엇을 잘할 수 있을까? 앨런은 아래 5가지가 유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a. 게임 (체스, 틱택토, 포커 등) b. 언어 학습 c. 언어 번역 d. 암호학 e. 수학 앨런은 ..
2023.02.09 -
ChatGPT는 당신이 똑똑한 만큼만 똑똑하다.
AI 챗봇(ChatGPT)의 인기가 엄청나다. 질문을 하면 답을 척척 잘한다. 세상의 많은 지식을 학습했기 때문이다. 문제는 누가 사용하는가에 따라 성능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사람은 아는 만큼만 질문할 수 있고, 아는 만큼만 이해할 수 있다. 즉, 세상에 아무리 많은 지식이 있더라도, 아는 만큼만 지식을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챗봇이 답을 준다고 다 내 것이 되는 것은 아니다. 내가 이해하고 응용할 수 있어야 내 것이다. AI가 나왔다고 해서 학습을 안 해도 되는 게 아니라, 오히려 더 해야 된다는 거다. AI 챗봇은 당신이 똑똑한 만큼만 똑똑하다. 기계가 문제를 풀어주는 시대가 되었다. 이제 인간은 질문을 잘하는데 집중해야 한다. 질문을 잘해야 좋은 답이 나온다. 질문을 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2023.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