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2. 9. 00:00ㆍSE 에세이
생각하는 기계를 만드는 방법
<지능을 가진 기계, 1948> 앨런 튜링의 보고서 요약 그리고 상상
방법 1: 진짜 사람 같은 기계를 만든다.
진짜 사람처럼 생각하는 기계를 만드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하지만, 그 당시 기술로는 비현실적이었다.
지금도 인간을 닮은 사이보그를 만드는 것은 비현실적이다.
설령 만든다고 해도 식사, 섹스, 스포츠 등의 인간적 경험을 할 수 없다.
방법 2: 뇌를 모방한다.
뇌만 모방해서 생각하는 기계를 만드는 것이다.
앞의 방법보다는 현실적이다.
뇌를 모방해서 만든다면 뇌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다시 말해, 뇌를 모방한 기계는 무엇을 잘할 수 있을까?
앨런은 아래 5가지가 유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a. 게임 (체스, 틱택토, 포커 등)
b. 언어 학습
c. 언어 번역
d. 암호학
e. 수학
앨런은 이들 중에서 '언어 학습'을 제외하고는 현실성이 있다고 했다.
왜냐하면, 이들은 바깥세상과 접촉할 필요가 거의 없기에 모방에 유리하다고 예상했다.
그리고, 그 당시 이미 '이니그마' 암호를 해독했으니 나름 자신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언어 학습은 현실성이 낮다고 했다.
감각 기관과 운동에 대한 의존도가 너무 크기 때문에 (그 당시에는) 비현실적이라고 했다.
다음으로, 앨런은 암호학 문제와 물리학 문제에는 뚜렷한 유사성이 있다고 했다.
* 암호화 체계: 우주의 법칙
* 가로챈 메시지: 관측한 사실
* 열쇠(키): 상수
2023년, 대규모 언어모델(LLM)의 인기가 하늘을 찌른다.
(조금 과장하자면) 세상의 모든 언어와 지식을 학습한 인공지능 모델이다.
AI와 함께 일하는 세상이 되었다.
갓 태어난 AI의 능력이 이 정도라니
10년 100년 1000년 후의 능력은 과연 어디까지일까?
인간은 생각의 도구로 우주의 법칙을 풀어낼 것이다.
'SE 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tGPT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0) | 2023.02.11 |
---|---|
[소프트웨어 2.0] 안드레 카파씨, OpenAI 컴백홈 (0) | 2023.02.10 |
[지식 근로자] 지식도 광고해야 하는 이유 (0) | 2023.02.08 |
DNA는 악보다. (0) | 2023.02.07 |
어떻게 하면 글을 잘 쓸 수 있을까? (0) | 2023.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