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20)
-
세계 공기 오염 지도
오늘 초미세 먼지 너무 심각합니다. 얼마나 심각하나 찾아보다가, 세계 공기 오염 지도라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한국도 문제지만, 중국, 동남아, 인도 지역이 아주 심각하네요. 세계의 굴뚝 공장들이 몰려 있어서 그런것 같습니다. 미국 쾌적하네요. 호주, 뉴질랜드도 쾌적입니다. https://waqi.info/ World's Air Pollution: Real-time Air Quality Index How polluted is the air today? Check out the real-time air pollution map, for more than 80 countries. waqi.info
2023.04.10 -
산림 구조 조정이 필요하다.
식목일에 나무를 심어야 하는가요? 2023년 봄, 산불이 많이 났다. 1986년 이래 단기적으로 가장 많은 산림화재가 났습니다. 산불을 줄이기 위해서는 산림 구조 조정을 해야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식목일에 산에 나무를 더 심기 보다는 오히려 나무 개체수를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입니다. 한국의 산불 대표적인 원인은 기후변화와 소나무입니다. 기후변화로 인해 예년보다 봄철 온도가 상승하고 건조해진 날씨가 지속되어, 산불 나기 좋은 조건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한국의 산에는 소나무가 많고, 소나무는 불에 잘 붙는 송진을 만들기 때문에 화재에 취약합니다. 참고로, 식목일은 1949년 공휴일로 지정되었습니다. 일제 강점기 이후 폐허가 된 산림을 다시 가꾸고 복원하기 위해서 만들었습니다. 그런데 현재는..
2023.04.09 -
뇌 (Brain)가 출현하기 이전
뇌가 출현하기 이전, 이 세상에는 아무런 색깔도 소리도 없었으며, 아무 맛도 향기도 없이, 그저 아주 작은 감각만 있을 뿐 느낌이나 감정이 없었다. 그리고 뇌가 있기 이전, 이 세상은 고통과 불안에서 자유로웠다. -로저 스페리- (81, 노벨의학상 수상자)
2023.04.08 -
육감 (the sixth sense)
사물의 가장 중요한 측면은 그것이 너무도 단순하고 친숙하기 때문에 우리의 눈길을 끌지 못한다. 늘 눈앞에 있기 때문에 별로 신경을 쓰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가장 기본적으로 탐구해야 하는 것은 그냥 스쳐 지나가는 법이다. - 비트켄슈타인 - * 알면, 관심없다. 비트켄슈티안이 인식론에 대해 쓴 이 구절은 생리학과 심리학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을ㄹ 것이다. 특히 셔링턴이 '우리의 비밀스러운 감각 즉 제육감 이라고 부른 것엥는 딱 들어 맞는다. 제육감란 근육, 힘줄, 관절 등 울리 몸의 움직이는 부분에 의해 전달되는, 연속적이면서도 의식되지 않는 감각의 흐름을 말한다. 우리 몸의 위치, 긴장, 웅ㅁ직임은 이 제육감을 통해서 끊임없이 감지되고 수정된다. 그러나 무의식중에 자동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우리는 그..
2023.04.07 -
GPT-4 모델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모델 간의 주요 차이점 중 하나는 컨텍스트 길이입니다. 이는 프롬프트의 길이와 완료에 포함되는 최대 토큰 수를 더한 값입니다. 표준 GPT-4 모델은 컨텍스트에 8,000개의 토큰을 제공합니다. 또한 32,000 토큰의 확장된 컨텍스트 길이 모델도 제공하며, 이는 8k 모델과 별도로 출시됩니다. * GPT-4 32K: A4 50 페이지 * GPT-4 Context_Length: 8k, 32k * Context_Length = Prompt_Length + Competion_Length 참고: https://help.openai.com/en/articles/7127966-what-is-the-difference-between-the-gpt-4-models
2023.04.06 -
뉴로 심볼릭 AI
신경 기호 AI를 인공 일반 지능을 달성하기 위한 경로로 보고 있습니다. 머신러닝과 같은 통계적 AI의 강점을 인간과 유사한 기호적 지식과 추론 능력으로 보강하고 결합하여 진화가 아닌 AI의 혁명을 만들어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연구자들은 딥 뉴럴 네트워크가 언젠가 자동 이미지 인식과 자연어 처리에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 거라 예상했습니다. 그 비전을 따라잡는 데 필요한 데이터와 처리 능력을 축적하는 데 수십 년이 걸렸지만 마침내 우리는 여기에 도달했습니다. 마찬가지로 과학자들은 오랫동안 심볼릭 AI 시스템이 인간 수준의 이해력을 달성할 수 있는 잠재력을 예상해 왔습니다. 그리고 이제 신경망이 이를 실현할 수 있을 만큼 강력해진 시점에 도달했습니다. 저희는 원시 데이터..
2023.04.05